맨위로가기

서울대학교 미술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대학교 미술관은 1995년 건립이 제안되어 삼성문화재단의 기증으로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에 2006년 개관한 미술관이다. 렘 콜하스가 설계했으며, U-유리로 마감된 독특한 외관과 캔틸레버 구조가 특징이다. 미술관은 전시, 교육, 운영, 도서관의 네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내 구성원과 지역 주민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완공된 예술 시설 - 성남아트센터
    성남아트센터는 2005년 개관한 복합 문화 공간으로, 다양한 공연, 전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성남문화재단이 위탁 운영한다.
  • 2006년 설립된 미술관 - 교토 국제 만화 박물관
    교토국제만화박물관은 교토세이카대학의 제안으로 폐교된 초등학교를 개조하여 2006년에 설립되었으며, 만화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는 다양한 시설과 전시를 갖추고 국제적인 만화 연구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만화 박물관이다.
  • 2006년 설립된 미술관 - 강릉시립미술관
    강릉시립미술관은 강릉미술관으로 2006년 개관 후 2013년 정식 인가를 받아 재개관하여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운영하며, 매년 1월 1일, 매주 월요일, 설날 및 추석 연휴에는 휴관한다.
  • 서울 관악구의 건축물 - 성보고등학교
    성보고등학교는 1981년에 설립 인가, 1982년에 개교한 학교법인 성보학원이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고등학교이다.
  • 서울 관악구의 건축물 - 남강고등학교
    1973년 개교한 남강고등학교는 설립자 은희을 선생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2023년 2월까지 27,441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대한민국 고등학교이다.
서울대학교 미술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대학교 미술관
이름서울대학교 미술관
로마자 표기Seoul Daehakgyo Misulgwan
다른 이름SNUMoA
종류미술관
위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산 56-1)
건축
완공일2005년
착공일2003년
건설 비용미화 970만 달러
면적4,478 제곱미터
높이17.5 미터
건축가렘 콜하스, Office for Metropolitan Architecture,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구조 엔지니어아럽
다른 디자이너조경 컨설턴트: Inside-Outside, 페트라 블라이즈, 음향 엔지니어링: TNO, Renz van Luxembourg, 조명 컨설턴트: 아럽
주요 계약자삼성건설
운영
설립자서울대학교
관장윤동천
소장품
소장 작품 수237점 (2011년)
웹사이트
웹사이트서울대학교 미술관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1995년, 당시 서울대학교박물관 현대미술부장인 이종상 교수가 미술관 건립 건의안을 제출하였고, 삼성문화재단이 미술관 건립기증협찬 기부약정서를 서울대학교에 전달한다. 이에 서울대학교는 관악캠퍼스의 정문 옆 미술관 부지를 확정한다. 같은 해, 삼성문화재단 관계자와 렘 콜하스가 건물 부지를 현장 조사했다. 1997년 기본 설계가 완료되었다.[3]

2003년 서울대학교는 관련 규정([http://snu.ac.kr/about/ajaxtabs/solution_b.jsp?top_reg_id=57162&div=1&mid_reg_id=74974 서울대학교규정 제1372호])을 공포하고 초대 미술관장으로 이종상 교수(박물관장 겸직)를 임명한다. 미술관 신축건물은 2003년 8월 30일에 착공하여 2005년에 완공되었다. 2006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정형민 교수가 3대 미술관장으로 취임하였고, 6월 8일 개관전시인 《현대미술로의 초대》의 개막과 함께 문을 열었다.[4]

2. 1. 건립 배경 및 초기 과정 (1995-2002)

1995년, 당시 서울대학교 박물관 현대미술부장이었던 이종상 교수가 미술관 건립 건의안을 제출하였고, 삼성문화재단이 건립기증협찬 기부약정서를 서울대학교에 전달하였다. 이에 서울대학교는 관악캠퍼스 정문 옆 부지를 미술관 부지로 확정하였다. 1996년에는 삼성문화재단 관계자와 렘 콜하스(Rem Koolhaas)가 건물 부지를 현장 조사했다.[3] 1997년 기본 설계가 완료되었다.[3]

2. 2. 건립 추진 및 개관 (2003-2006)

1995년, 당시 서울대학교 박물관 현대미술부장인 이종상 교수가 미술관 건립 건의안을 제출하였고, [http://culture.samsungfoundation.org/ 삼성문화재단]이 미술관 건립기증협찬 기부약정서를 서울대학교에 전달하였다.[3] 이에 서울대학교는 관악캠퍼스의 정문 옆 미술관 부지를 확정하였다. 같은 해, 삼성문화재단 관계자와 렘 콜하스(Rem Koolhaas)가 건물 부지를 현장 조사했다.[3]

2003년 서울대학교는 관련 규정([http://snu.ac.kr/about/ajaxtabs/solution_b.jsp?top_reg_id=57162&div=1&mid_reg_id=74974 서울대학교규정 제1372호])을 공포하고 초대 미술관장으로 이종상 교수(박물관장 겸직)를 임명한다. 미술관 신축건물은 2003년 8월 30일에 착공하여[4] 2005년에 완공되었다.[4] 2006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정형민 교수가 3대 미술관장으로 취임하였고,[4] 6월 8일 개관전시인 《현대미술로의 초대》의 개막과 함께 문을 열었다.[4]

3. 전시

wikitable

일시전시명
2006.9.4~2006.9.19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1)
2006.11.2~2006.11.25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2)
2007.2.13~2007.7.20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3)
2008.5.29~2008.7.4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4)
2009.7.17~2009.8.16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5)
2010.2.25~2010.5.30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6)


3. 1. 주요 전시 목록 (2006-현재)

wikitable

일시전시명
2006.6.8~2006.8.19현대미술로의 초대
2006.9.4~2006.9.19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1)
2006.9.20~11.18대학과 미술·미술교육 60년
2006.11.2~2006.11.25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2)
2006.12.2~2007.2.10앤디 워홀 그래픽전
2007.2.13~2007.7.20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3)
2007.3.12~2007.6.30막스 베크만 프린트 - 예술가와 시대의 자화상
2007.7.4~2007.7.20백계 정탁영 기증작품전
2007.8.10~2007.9.29MoA Picks: 매체의 기억 - ‘후기’ 증후군
2007.10.10~2007.12.4절제와 풍요 - 덴마크의 예술과 디자인
2007.12.14~2008.1.31오노레 도미에 - 파리의 풍자꾼
2007.12.14~2008.4.26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공예전공 교수 작품전
2008.2.14~2008.4.25인도현대미술: 일상에서 상상까지
2008.5.1~2008.5.20빛 하동철
2008.5.1~2008.7.12MOA 조각 상설전
2008.5.29~2008.7.4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4)
2008.5.29~2008.8.9지그마어 폴케: 미지의 세계에서 온 음악
2009.7.17~2009.8.16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5)
2009.12.10~2010.2.21장욱진[35]
2009년 봄서울대학교 미술대학원 졸업전시[36]
2010.2.23~2010.4.11서울대학교 미술관 Designers in Residence 1기: MoA의 공간탐구
2010.2.25~2010.5.30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6)
2010.7.14~2010.9.26백색의 봄
2010.12.2~2011.1.9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들이 있는 정원: Game+Interactive Media Art
2010.12.29~2011.1.13축지도 A tactual map
2011.3.2~2011.4.10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들이 있는 정원: Game+Interactive Media Art 2부
2012.3.2~2011.4.10서울대학교 미술관 Designers in Residence 2기: MoA의 공간탐구
2012.4.17~2012.6.3동상이몽[6]
2012.7.19~2012.9.16Now Dance
2012.9.27~2012.11.25Design Futurology
연도 미상2011년 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박사 졸업전[5]
연도 미상보그 모멘트[7]
연도 미상네덜란드의 마술적 사실주의: 전통에서 현대까지[8]
연도 미상교과서 속의 미술[9]
연도 미상항상 내 마음속에: 집 + 집[10]
연도 미상하눈성- 하눈 성 전시[11]
연도 미상주세페 베르디 헌정 전시[12]
연도 미상디자인 누아르: 박물관을 위한 일곱 가지 허구[13]
연도 미상데이비드 호크니: 1861-1977, 네 점의 판화 포트폴리오[14]
연도 미상현대 생활 - 315[15]
연도 미상MoA 픽 2011[16]
연도 미상현재와의 대화[17]
연도 미상오마르 갈리시아, 서울의 혼[18]
연도 미상예술 속의 제임스 조이스[19]
연도 미상이 모던 서양 일본[20]
연도 미상MoA 초대_기증전 서울대학교 미술관 2011[23]
연도 미상오감(Five Senses)
연도 미상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전시회(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graduation exhibition)
연도 미상한국 전쟁의 초상(Portrait of Korean War)
연도 미상베르게만 전시(Bergemann exhibition)
연도 미상유리지, 금속 공예 40년 회고전(Yoo Lizzy, A Retrospective of 40 Years of Metal Works)
연도 미상신광석 - 교육과 창작의 경계(Singwangseok – between education and creation)
연도 미상전수천[37]
연도 미상세상의 드로잉, 드로잉의 세상[38]
연도 미상50년 여정, 권순형 도예[39]
연도 미상두 개의 예술의 꿈: 세계 판화 워크숍 2RC 이탈리아 거장들과의 만남[40]
연도 미상나사 풀린 편지 [41]
연도 미상[http://inhabitat.com/ralf-sanders-world-saving-machine-uses-solar-energy-to-create-ice/ 세상을 구하는 기계] [42]


3. 1. 1. 2006-2009

일시전시명
2006.6.8~2006.8.19현대미술로의 초대
2006.9.4~2006.9.19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1)
2006.9.20~11.18대학과 미술·미술교육 60년
2006.11.2~2006.11.25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2)
2006.12.2~2007.2.10앤디 워홀 그래픽전
2007.2.13~2007.7.20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3)
2007.3.12~2007.6.30막스 베크만 프린트 - 예술가와 시대의 자화상
2007.7.4~2007.7.20백계 정탁영 기증작품전
2007.8.10~2007.9.29MoA Picks: 매체의 기억 - ‘후기’ 증후군
2007.10.10~2007.12.4절제와 풍요 - 덴마크의 예술과 디자인
2007.12.14~2008.1.31오노레 도미에 - 파리의 풍자꾼
2007.12.14~2008.4.26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공예전공 교수 작품전
2008.2.14~2008.4.25인도현대미술: 일상에서 상상까지
2008.5.1~2008.5.20빛 하동철
2008.5.1~2008~7.12MOA 조각 상설전
2008.5.29~2008.7.4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4)
2008.5.29~2008.8.9지그마어 폴케: 미지의 세계에서 온 음악
2009.7.17~2009.8.16서울대학교 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5)
2009.12.10~2010.2.21장욱진[35]
2009년 봄서울대학교 미술대학원 졸업전시[36]


3. 1. 2. 2010-2012

일시전시명
2010.2.23~2010.4.11서울대학교미술관 Designers in Residence 1기: MoA의 공간탐구
2010.2.25~2010.5.30서울대학교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6)[5]
2010.7.14~2010.9.26백색의 봄[5]
2010.12.2~2011.1.9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들이 있는 정원: Game+Interactive Media Art[5]
2010.12.29~2011.1.13축지도 A tactual map[5]
2011.3.2~2011.4.10끝없이 두 갈래로 갈라지는 길들이 있는 정원: Game+Interactive Media Art 2부[5]
2012.3.2~2011.4.10서울대학교미술관 Designers in Residence 2기: MoA의 공간탐구[5]
2012.4.17~2012.6.3동상이몽[5]
2012.7.19~2012.9.16Now Dance[5]
2012.9.27~2012.11.25Design Futurology[5]


3. 1. 3. MoA Cine Forum (영상 시리즈)

wikitable

일시전시명
2006.9.4~2006.9.19서울대학교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1)
2006.11.2~2006.11.25서울대학교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2)
2007.2.13~2007.7.20서울대학교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3)
2008.5.29~2008.7.4서울대학교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4)
2009.7.17~2009.8.16서울대학교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5)
2010.2.25~2010.5.30서울대학교미술관 영상시리즈(MoA Cine Forum 6)


4. 건축



서울대학교 미술관(SNUMoA)은 렘 콜하스가 설계했다.[43] 건물 외부는 U-유리(U-glass)로 만들어졌으며, 이 유리를 통해 구조적인 강철 프레임 트러스가 드러난다. 건물은 경사진 부지에 위치해 있으며, 건축가는 최종 설계에 이 지형을 활용했다. 미술관은 콘크리트 코어에 의해 캔틸레버 방식으로 설계되어 가볍고 공간에 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미술관은 운영, 교육, 전시, 도서관의 네 가지 기본 프로그램 구역으로 나뉜다. 건물의 경사면은 램프식 좌석이 있는 강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44]

4. 1. 구조 및 디자인



서울대학교 미술관(SNUMoA)은 렘 콜하스가 설계했다.[43] 건물 외부는 U-유리(U-glass)로 만들어졌으며, 이 유리를 통해 구조적인 강철 프레임 트러스가 드러난다. 건물은 경사진 부지에 위치해 있으며, 건축가는 최종 설계에 이 지형을 활용했다. 미술관은 콘크리트 코어에 의해 캔틸레버 방식으로 설계되어 가볍고 공간에 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미술관은 운영, 교육, 전시, 도서관의 네 가지 기본 프로그램 구역으로 나뉜다. 건물의 경사면은 램프식 좌석이 있는 강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44]

5. 미술관 프로그램

서울대학교 미술관은 학내 구성원 및 지역 주민 등을 대상으로 미술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관악구민을 위한 미술 강좌나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 서울대학교 미술관-관악구 학관협력사업의 일환인 《미술경영 전문가 아카데미》 등을 진행한다. 또한 매 전시마다 도슨트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문화자원봉사를 모집해 전시 안내를 체험하고 문화자원봉사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5. 1. 지역 사회 연계 프로그램

서울대학교 미술관은 학내 구성원 및 지역 주민 등을 대상으로 미술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관악구민을 위한 미술 강좌나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 서울대미술관-관악구 학관협력사업의 일환인 《미술경영 전문가 아카데미》 등을 진행한다. 또한 매 전시마다 도슨트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문화자원봉사자들이 전시 안내를 체험하고 문화자원봉사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5. 2. 도슨트 프로그램

서울대학교 미술관은 학내 구성원 및 지역주민 등을 대상으로 미술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관악구민을 위한 미술 강좌나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 서울대미술관-관악구 학관협력사업의 일환인 《미술경영 전문가 아카데미》 등을 진행한다. 또한 매 전시마다 도슨트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문화자원봉사를 모집해 전시 안내를 체험하고 문화자원봉사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6. 관람 정보

서울대학교 미술관(MoA)은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정문 왼쪽에 있다.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고 정문으로 가서 정문 왼쪽에 있는 원형 광장의 계단을 올라가면 된다.

6. 1. 교통편

서울대학교 미술관(MoA)은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정문 왼쪽에 있다.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고 정문으로 가서 정문 왼쪽에 있는 원형 광장의 계단을 올라가면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OMA: SNUMoA Project http://oma.eu/projec[...]
[2] 웹사이트 ArcSpac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http://www.arcspace.[...]
[3] 웹사이트 OMA SNUMoA History http://oma.eu/projec[...]
[4] 웹사이트 SNUMoA History http://www.snumoa.or[...]
[5] 웹사이트 Spring 2011 College of Fine arts, SNU, Ph.D. Graduate Exhibition http://www.snumoa.or[...]
[6] 웹사이트 Dongsangyimong http://www.snumoa.or[...]
[7] 웹사이트 Vogue Moment http://www.snumoa.or[...]
[8] 웹사이트 Magical Realism in the Netherlands: from traditional to contemporary http://www.snumoa.or[...]
[9] 웹사이트 Art in textbooks http://www.snumoa.or[...]
[10] 웹사이트 Always on my mind: home + home http://www.snumoa.or[...]
[11] 웹사이트 Hanunseong- hanun Castle Exhibition http://www.snumoa.or[...]
[12] 웹사이트 Giuseppe Verdi dedicated exhibition http://www.snumoa.or[...]
[13] 웹사이트 Design noir: seven kinds of fiction for the museum http://www.snumoa.or[...]
[14] 웹사이트 David Hockney: 1861-1977, portfolio of four prints http://www.snumoa.or[...]
[15] 웹사이트 Modern Life_-315 http://www.snumoa.or[...]
[16] 웹사이트 MoA picks 2011 http://www.snumoa.or[...]
[17] 웹사이트 Extent- materials, light, image – Dialogue with the Present http://www.snumoa.or[...]
[18] 웹사이트 Omar Galicia, Seoul’s Soul http://www.snumoa.or[...]
[19] 웹사이트 Joyce in Art http://www.snumoa.or[...]
[20] 웹사이트 This Modern Western Japan http://www.snumoa.or[...]
[21] 웹사이트 Designers in Residence 2-based: MoA of space exploration http://www.snumoa.or[...]
[22] 웹사이트 Split into two streams with endless garden paths: Game + Interactive Media Art_2 Part http://www.snumoa.or[...]
[23] 웹사이트 MoA Invites_gijeungjeon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2011 http://www.snumoa.or[...]
[24] 웹사이트 A tactual map also palpable http://www.snumoa.or[...]
[25] 웹사이트 Five Senses http://www.snumoa.or[...]
[26] 웹사이트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Fine Arts graduation exhibition http://www.snumoa.or[...]
[27] 웹사이트 Split into two streams with endless garden paths: Game + Interactive Media Art http://www.snumoa.or[...]
[28] 웹사이트 Portrait of Korean War http://www.snumoa.or[...]
[29] 웹사이트 Bergemann exhibition http://www.snumoa.or[...]
[30] 웹사이트 White Spring http://www.snumoa.or[...]
[31] 웹사이트 Yoo Lizzy, A Retrospective of 40 Years of Metal Works http://www.snumoa.or[...]
[32] 웹사이트 Singwangseok – between education and creation http://www.snumoa.or[...]
[33] 웹사이트 Seoul National Museum of Art Video Series, MoA Cine Forum 6_gestures of healing http://www.snumoa.or[...]
[34] 웹사이트 Resid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designer space exploration 1st MoA http://www.snumoa.or[...]
[35] 웹사이트 Jangukjin http://www.snumoa.or[...]
[36] 웹사이트 Spring 2009,College of Fine Arts Graduate Exhibition http://www.snumoa.or[...]
[37] 웹사이트 Jeonsucheo http://www.snumoa.or[...]
[38] 웹사이트 Drawing of the world, the world’s drawing http://www.snumoa.or[...]
[39] 웹사이트 50-year journey, Gwonsunhyeong Pottery http://www.snumoa.or[...]
[40] 웹사이트 Dream of two kinds of art: with the Italian masters of the world print workshop meeting of 2RC http://www.snumoa.or[...]
[41] 웹사이트 Screw Tape Letters http://www.snumoa.or[...]
[42] 웹사이트 World Saving Machine http://eprints.ulste[...]
[43] 웹사이트 SNUMoA Structure Info http://e-seoul.org/?[...]
[44] 웹사이트 SNUMoA Structure Info 2 http://www.arcspace.[...]
[45] 웹인용 서울대학교 미술관 소장품 http://www.snumoa.or[...] 2019-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